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매일 매일 미라클 코딩
[Lv.2] 프로그래머스 - 정렬 - H-Index 본문
문제 설명
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1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,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,000편 이하입니다.
-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,000회 이하입니다.
입출력 예
citationsreturn
[3, 0, 6, 1, 5] | 3 |
입출력 예 설명
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,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.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-Index는 3입니다.
※ 공지 - 2019년 2월 28일 테스트 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.
[접근]
처음에 이해를 잘 못해서 고치는 데에 오래 걸렸다.
h 회이상 인용된 논문이 h개 이상인데, h회 이상 논문이 h번이상,,, 으로 풀어서 뻘짓했음
아무튼 h 는 citations 의 총 길이를 넘을 수 없다.
그래서 오름차순 정렬한후 len(citations) 부터 0 까지 거꾸로 확인하여, i 번 이상 인용된 원소를 카운트하고, 카운트가 인덱스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answer 에 담아주었다.
def solution(citations):
answer = 0
citations.sort() # 0, 1, 3, 5, 6
l = len(citations)
# h 회이상 인용 = h개 이상
# 0 < h < len(cite)
for i in range(l,0,-1):
count = 0
for j in citations:
if j >= i:
count+=1 # i번 이상 인용된 논문 개수
if count <= i :
answer =count
return answer
풀고도 찝찝한... 이렇게 푸는게 맞나 싶었던 문제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v.3] 프로그래머스 - 입국심사 (이분탐색) (0) | 2021.05.20 |
---|---|
[BOJ 4948] - 베르트랑 공준 (에라토스테네스의체 알고리즘) (0) | 2021.05.14 |
[BOJ-1697] 숨바꼭질 (BFS) (0) | 2021.05.07 |
[BOJ - 1157] 단어공부 (feat. Counter 함수) (0) | 2021.05.02 |
[Lv.2] 프로그래머스 - 완전탐색 - 소수찾기 문제 (0) | 2021.04.23 |